한국 외래생물 정보시스템

메인으로 바로가기 사이트맵 바로가기

생태계교란 생물 검색

Home > 생태계교란 생물 > 생태계교란 생물 검색 > 생태계교란 생물 상세보기

미국가재 Procambarus clarkii

  • 미국가재
    저작권 안내 : 공공누리 제1유형
    저작권자: 국립생태원 외래생물팀 [다운로드]
    1. 영명 : Red crayfish(Red swamp crayfish)
    2. 분류군 : 무척추동물
    3. 분류체계 : 절지동물문(Arthropoda) > 연갑강(Malacostraca) > 십각목(Decapoda) > (Cambaridae) > (Procambarus)
    4. 관리현황 : 외래생물, 생태계교란 생물

    사진 더보기

생활사

형태특성

색, 몸길이, 몸무게, 암·수컷비교 등의 특징
성체는 붉은색이고 어린 개체는 흑색이 진한 홍색조로 나타난다. 집게발은 크고 두텁다. 더듬이는 두개이며 끝이 가늘어지는 실모양이다. 작은 다리는 배 쪽 양편에 각각 4쌍씩 달린다. 껍질이 딱딱하고 등 쪽에 6개의 마디모양을 이루며 등을 덮는다. 눈은 튀어나왔으며 꼬리날개가 부채처럼 펼쳐진다.
토종경쟁종 목록 및 토종경쟁종과 비교
가재(Cambaroides similis)와 생김새가 유사하나 가재는 체색이 회색에 가까운 적갈색이고 크기가 7㎝ 정도로 작다. 그러나 붉은가재는 체색이 홍색조이고 15㎝ 정도로 크다.
아종(Subspeices)
자료없음

생태특성

서식지환경
정체성 내지는 완만한 흐름의 온난한 담수역에서 서식
생식(Reproduction) & 발생 (Development)방법
10㎝ 정도 되는 암컷은 500개 정도의 알을 낳고 이보다 작은 암컷은 100개 정도의 알을 낳기도 한다. 산란은 봄철에 시작되며 건기에는 산란을 멈춘다.
섭식(food habits) & 먹이사슬(food chain)
자료없음
수명(lifespan/longevity)
자료없음
기타(개체군 밀도, 주 활동시간대, 무리(집단) 생활유무 등)
이동성이 뛰어나며 특히 습한 기후에서 더 활발하게 움직인다.

도입특성

원산지
미국 걸프만의 멕시코와 플로리다 주 일대, 일리노이, 오하이오 주 일대
도입시기
자료없음
도입용도
애완·관람용

분포특성

국내분포범위, 최초관찰 시기 및 및 장소
2006년 서울 용산가족공원의 연못에서 여러마리 포획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유입되었음
유입경로 및 원인
미군이나 미군기지내에서 생활하는 사람이 자연에 놓아 보냈던 것으로 추정된다.
자연생태계에서의 생존가능성 기입 및 그 이유
자료없음
생존가능 시 서식가능지역
자료없음
천적존재 여부 및 천적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자료없음

영향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토착종과의 경쟁, 농작물피해, 동식물 및 인간에 대한 공격성, 질병매개체로서의 역활, 생물다양성, 문화/경제적 영향 등
자료없음
피해종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피해 생태계 사례
유럽에서는 붉은가재로 인하여 유럽 토착종 가재(Astacus astacus)가 크게 감소하였는데, 이는 서식지나 먹이경쟁이 아닌 붉은가재에 수반된 곰팡이인 Aphabomyces astaci에 의한 질병 전염이 원인이었다.

조절/퇴치

과거 조절/퇴치사업 시행여부 및 시행방법과 결과
자료없음
이 종의 조절/퇴치가 필요한지 여부 및 그 이유
붉은가재는 집게발이 크고 예리하기 때문에 물리면 상처를 입기 쉽다. 붉은가재류는 주로 관상용으로 들여와 유통되고 사육되고 있으나 자연에 방류되면 정착가능성이 높아 주의가 요구된다. 수질오염에 대한 내성도 우리나라의 토착가재보다 높아 방류된 지역에서 정착하고 2차 확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
조절/퇴치 방법 제안
붉은가재의 판매인과 개인소유자가 잇는 지역은 자연생태계로 나가지 못하도록 주의가 필요하며 생태계 유입 우려가 높은 지역이나 이미 출현한 지역은 일정한 관찰 조사가 요구된다. 초기정착이 확인되고 확산경향이 나타나는 곳은 제거가 필요하다.

국내·외 침입외래종 지정현황

국내
생태계교란 생물
타국가
미국(캘리포니아), 영국, 네덜란드, 중국
국제기구
자료없음

참고문헌

참고문헌
- 지정이력 2019. 10. 11. 생태계교란 생물 지정 고시 - 참고자료 국립환경과학원. 2008, 한국의 주요 외래생물Ⅰ. pp43-46.

관련 소식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