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외래생물 정보시스템

메인으로 바로가기 사이트맵 바로가기

생태계교란 생물 검색

Home > 생태계교란 생물 > 생태계교란 생물 검색 > 생태계교란 생물 상세보기

미국선녀벌레 Metcalfa pruinosa

  • 미국선녀벌레
    저작권 안내 : 공공누리 제1유형
    저작권자: 국립생태원 외래생물팀 [다운로드]
    1. 영명 : Citrus flatid planthopper
    2. 분류군 : 곤충
    3. 분류체계 : 절지동물문(Arthropoda) > 곤충강(Insecta) > 노린재목(Hemiptera) > 선녀벌레과(Flatidae) > (Metcalfa)
    4. 관리현황 : 외래생물, 생태계교란 생물

    사진 더보기

생활사

형태특성

색, 몸길이, 몸무게, 암·수컷비교 등의 특징
성충의 크기는 7.5~8.5mm, 폭 2~3mm 정도이고, 알의 크기는 0.8mm 정도이며 백색의 원통형이다. 약충의 크기는 3~4mm 정도이며 약간 흰색에서 밝은 녹색을 띤다. 배면 끝에는 흰색의 밀납 물질이 붙어있다. 마지막 약충의 크기는 5~6mm 정도이고 흰색의 왁스 물질의 털이 붙어있다. 앞날개는 회색에서 갈색을 띠며 거의 직사각형이고, 앞가슴 쪽으로 3~6개의 검은 점이 있으며 뒤쪽으로 흰점이 산재해 있다. 앞가슴등판은 회색에서 흑갈색을 띠며, 온몸은 털로 덮여 있고 겹눈은 밝은 노란색에서 황색을 띤다. 흡즙형 구기를 가지고 있고, 다리는 황색을 띠며 뒷다리가 발달되어 잘 튀어오른다.
토종경쟁종 목록 및 토종경쟁종과 비교
자료없음
아종(Subspeices)
유사종인 선녀벌레는 몸색이 옥색을 띠며 봉화선녀벌레는 연노란색을 띤다. 미국선녀벌레는 몸색이 다양하지만 대체적으로 회갈색을 띤다.

생태특성

서식지환경
자료없음
생식(Reproduction) & 발생 (Development)방법
1년에 1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지역에 따라 1년에 2회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주로 5월 말에서 7월 중순경 출현한다. 성충은 주로 7월 중순에서 10월 말까지 출현한다. 주로 어린 잎을 선호하며 탈피시 탈피각은 대부분 잎의 뒷면에 부착시킨다. 알은 9~10월경 기주 식물의 나뭇가지 밑에 100여 개의 알을 산란하며, 알 상태로 월동한다. 부화 후 약 70일이 지나면 성충이 된다. 약충은 4회 탈피하며 1~5령을 거쳐 성충이 된다. 기주식물은 아까시나무, 박태기나무, 당느릅나무, 벚나무, 물오리나무, 덩굴장미, 산수유, 칠엽수, 단풍나무, 신나무, 감나무, 붉나무, 오갈피나무, 무궁화, 비목나무, 산뽕나무 등 107 종에서 발생이 확인되었다.
섭식(food habits) & 먹이사슬(food chain)
자료없음
수명(lifespan/longevity)
자료없음
기타(개체군 밀도, 주 활동시간대, 무리(집단) 생활유무 등)
자료없음

도입특성

원산지
북미
도입시기
자료없음
도입용도
자료없음

분포특성

국내분포범위, 최초관찰 시기 및 및 장소
국내에는 2009년 서울, 경기, 경남에서 처음 확인되었따. 그러나 2005년 한국감연구회의 매미충류 피해보고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 침입한 해충으로 추정되고 있다. 국내분포 : 전국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2009년 서울, 경기, 경남에서 처음 발견이 되었다. 그러나 2005년 한국감연구회의 매미충류 피해보고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 침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2015년 4,026ha에서 2016년 8,116ha로 전년보다 2배 빠른 속도로 퍼지고 있다.
유입경로 및 원인
자료없음
자연생태계에서의 생존가능성 기입 및 그 이유
자료없음
생존가능 시 서식가능지역
자료없음
천적존재 여부 및 천적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자료없음

영향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토착종과의 경쟁, 농작물피해, 동식물 및 인간에 대한 공격성, 질병매개체로서의 역활, 생물다양성, 문화/경제적 영향 등
약충은 수목의 잎을 갉아먹고, 성충은 식물의 즙액을 흡즙하여 수세를 약화시킨다. 또 감로를 배출하여 그을음병을 일으키며, 곰팡이 등이 감잎, 가지, 과일에 흡착되어 생육부진, 상품저해 등의 피해 발생이 우려된다. 바이러스 질환이 보고되므로 어린이나 노약자는 되도록 접촉을 피하는 주의가 필요하다.
피해종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피해 생태계 사례
자료없음

조절/퇴치

과거 조절/퇴치사업 시행여부 및 시행방법과 결과
자료없음
이 종의 조절/퇴치가 필요한지 여부 및 그 이유
자료없음
조절/퇴치 방법 제안
식물검역원에서 정한 관리병해충으로 살충제를 이용한 방법으로는 유기인계 5종(dichlorvos, fenitrothion, fenthion, methidathion, phenthoate), 카바메이트계 1종 등의 약제에 살충효과가 나타났으며, 인접한 산림을 동시에 방제하여야 한다. 효과적인 방제를 위해 약충시기인 5~6월 중순 사이에 약제를 살포하여 약충과 성충을 죽인 후, 알에서 깨어나는 시점인 7~10일 후 한 번 더 방제를 실시한다. 또한 겨울철 식물의 죽은 가지를 없애 발생원을 차단한다.

국내·외 침입외래종 지정현황

국내
생태계교란 생물
타국가
자료없음
국제기구
자료없음

참고문헌

참고문헌
- 지정이력 2020. 3. 30. 생태계교란 생물 지정 고시 - 참고자료 한국의 주요 외래 동식물. 2011. 국립환경과학원

관련 소식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