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외래생물 정보시스템

메인으로 바로가기 사이트맵 바로가기

생태계교란 생물 검색

Home > 생태계교란 생물 > 생태계교란 생물 검색 > 생태계교란 생물 상세보기

긴다리비틀개미 Anoplolepis gracilipes

  • 긴다리비틀개미
    저작권 안내 : 공공누리 제1유형
    저작권자: 국립생태원 외래생물팀 [다운로드]
    1. 영명 : Crazy ant
    2. 분류군 : 곤충
    3. 분류체계 : 절지동물문(Arthropoda) > 곤충강(Insecta) > 벌목(Hymenoptera) > 개미과(Formicidae) > (Anoplolepis)
    4. 관리현황 : 외래생물, 생태계교란 생물, IUCN 세계 100대 침입외래종

    사진 더보기

생활사

형태특성

색, 몸길이, 몸무게, 암·수컷비교 등의 특징
전형적인 소-중형의 크기로 몸길이는 보통 2-4㎜이고, 계급 차이에 따라 5mm 이상이 되는 개체도 있다. 일개미는 단일형으로 크기와 모양이 같으며, 일개미들은 크기가 모두 같다. 가슴은 노란색이며 복부는 갈색을 띤다. 더듬이와 다리가 몸에 비해 긴 것이 특징이며 가슴 부분 역시 가늘고 길다. 큰 턱에는 이빨이 8개 있고, 더듬이는 11마디다. 더듬이 자루마디는 머리 길이의 2배를 넘는다. 머리 복부에는 굵은 털이 있지만 가슴 부분에는 굵은 털이 없다.
토종경쟁종 목록 및 토종경쟁종과 비교
자료없음
아종(Subspeices)
자료없음

생태특성

서식지환경
농업지역, 도시 등 어느 곳이나 가리지 않고 군집을 만든다. 또한 숲에 침입한 노랑미친개미는 진딧물과 공생하며 개체수를 늘려, 일반 개미들보다 밀도가 훨씬 높은 군집을 형성한다. 제곱미터당 2,254개체라는 밀도와 10.5개의 군락이라는 역대 최고의 밀도를 기록하기도 했다.
생식(Reproduction) & 발생 (Development)방법
자료없음
섭식(food habits) & 먹이사슬(food chain)
침입한 지역은 고유종을 포함한 절지동물, 파충류, 조류, 포유류 등 대부분의 생물들이 공격받거나 충돌하게 된다.
수명(lifespan/longevity)
일개미들은 크기가 76-84일을 산다.
기타(개체군 밀도, 주 활동시간대, 무리(집단) 생활유무 등)
미친(Crazy) 개미라는 이름을 얻게 된 이유는 다른 개미들처럼 줄지어 다니는 것이 아니라 그야말로 미친 듯 이리저리 지그재그로 방향을 바꾸면서 기어 다니는 습성에서 비롯되었다.

도입특성

원산지
열대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도입시기
자료없음
도입용도
자료없음

분포특성

국내분포범위, 최초관찰 시기 및 및 장소
자료없음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자료없음
유입경로 및 원인
자료없음
자연생태계에서의 생존가능성 기입 및 그 이유
자료없음
생존가능 시 서식가능지역
자료없음
천적존재 여부 및 천적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자료없음

영향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토착종과의 경쟁, 농작물피해, 동식물 및 인간에 대한 공격성, 질병매개체로서의 역활, 생물다양성, 문화/경제적 영향 등
침입한 지역은 고유종을 포함한 절지동물, 파충류, 조류, 포유류 등 대부분의 생물들이 공격받거나 충돌하게 된다. 높은 군집밀도는 그 지역의 중심 종을 가해해 생태계 구조를 빠르게 변화시키고 토착종에 피해를 끼친다. 특히, 도시, 산림 임연부, 농경지와 같은 불안정하며 교란 요소가 있는 환경은 빠르게 침입하기에 적합한 서식지이이며, 침입에 노출되기 쉽다.
피해종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피해 생태계 사례
인도양의 크리스마스섬 열대우림에서 고유종인 붉은참게들이 유입된 Anoplolepis gracilipes 에 의해 공격받아 죽는 사례가 보고되었는데, 크리스마스섬의 명물인 붉은참게를 가해하면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침입외래종의 사례가 되었다. 또한 크리스마스섬에만 서식하는 고유종 조류가 위험에 처해 있으며, 서식지 변화 및 직접적 공격을 통해 멸종에 이를 것이라고 예측한다. 계피, 감귤, 커피, 바나나, 람부탄, 망고, 두리안 등 다양한 농경지에 정착해 군집을 형성하고 피해를 끼친다.

조절/퇴치

과거 조절/퇴치사업 시행여부 및 시행방법과 결과
자료없음
이 종의 조절/퇴치가 필요한지 여부 및 그 이유
자료없음
조절/퇴치 방법 제안
화학적 방제로는 미끼를 이용해 독극물을 섞어 소화계에 작용하는 약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고 발육을 억제하는 약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소화계에 작용하는 약제는 효과가 빠른 장점이 있고, 발육억제 약제는 작용하는 속도는 비교적 느리나, 전체 군집에 퍼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학적 방제를 사용할 시 토착 개미에 영향을 주지 않고, 침입종에만 작용하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해외에서는 페로몬, 미끼, 약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국내·외 침입외래종 지정현황

국내
생태계교란 생물
타국가
자료없음
국제기구
IUCN-100대 악성 생태계위해외래종, IUCN/SSC-Invasive Species Group (ISSG) (특정침입종)

참고문헌

참고문헌
- 지정이력 2020. 12. 30. 생태계교란 생물 지정 고시 2019. 10. 31. 유입주의 생물 지정 고시 2014. 1. 1. 위해우려종 지정 - 참고자료 Boland, C.R.J., M.J. Smith, D. Maple, B. Tiernan, R. Barr, R. Reeves, and F. Napier. Heli-baiting using low concentration fipronil to control invasive yellow crazy ant supercolonies on Christmas Island, Indian Ocean. IUCN, Gland, Switzerland. Island invasives: eradication and management. In: Veitch, C. R.; Clout, M. N. and Towns, D. R. (eds.). pp. 152-156.

관련 소식

국제동향

  • IUCN 세계 100대 침입외래종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