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외래생물 정보시스템

메인으로 바로가기 사이트맵 바로가기

유입주의 생물 검색

Home > 유입주의 생물 > 유입주의 생물 검색 > 유입주의 생물 상세보기

태평양쥐 Rattus exulans

    1. 영명 : Polynesian rat
    2. 분류군 : 포유류
    3. 분류체계 : > > > >
    4. 관리현황 : 유입주의 생물

생활사

형태특성

색, 몸길이, 몸무게, 암·수컷비교 등의 특징
몸길이는 11.5-15cm이며, 평균 몸무게는 0.04-0.18kg이다. 귀는 크고 둥글며, 입은 뾰족하게 튀어나 왔다. 몸집에 비해 발이 작으며, 꼬리에는 굵은 털이 듬성듬성 나 있고 비늘이 있다. 두개골 크기는 서늘한 기후에 서식하는 개체가 온화한 기후에 서식하는 개체보다 크다. 집쥐(R. norvegicus), 곰쥐(R. rattus) 등과 외형이 매우 유사하다. 등의 털색은 갈색이고 배와 다리는 회색빛을 띤 흰색, 검은색, 검은빛을 띤 갈색 등 여러 가지다. 뒷발에 색이 짙은 선이 보이며, 이 선의 유무로 유사종과 구별이 가능하다.
토종경쟁종 목록 및 토종경쟁종과 비교
자료없음
아종(Subspeices)
자료없음

생태특성

서식지환경
서식지는 초원, 가옥, 곡물창고, 경작지, 숲 등에서 먹이 조달이 용이하고 피난처를 얻을 수 있는 지역을 선호한다.
생식(Reproduction) & 발생 (Development)방법
자연에서는 여름과 초가을에 번식률이 높다. 암컷은 한배에 1-4마리를 품으며 연간 평균 4마리를 키 운다. 임신기간은 19-20일이며, 생후 2-4주 후에 젖을 뗀다. 생후 8-12개월 사이에 성적으로 성숙한다.
섭식(food habits) & 먹이사슬(food chain)
잡식성으로 씨앗, 과일, 곤충, 지렁이, 거미, 도마뱀, 어린 새와 새 알을 먹는다. 육식동물 또는 경쟁 설치류에게서 먹이를 지키고자 먹이를 안전한 장소에 저장하기도 한다.
수명(lifespan/longevity)
야생에서의 수명은 약 1년 정도이며 사육 상태에서는 15개월 간 생존한 사례가 있다.
기타(개체군 밀도, 주 활동시간대, 무리(집단) 생활유무 등)
나무를 매우 잘 타며 야행성이다.

도입특성

원산지
이란, 아프카니스탄, 중국, 동남아시아, 유라시아, 아프리카, 아이슬란드 및 시베리아 북쪽 여러 섬
도입시기
자료없음
도입용도
자료없음

분포특성

국내분포범위, 최초관찰 시기 및 및 장소
자료없음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자료없음
유입경로 및 원인
자료없음
자연생태계에서의 생존가능성 기입 및 그 이유
자료없음
생존가능 시 서식가능지역
자료없음
천적존재 여부 및 천적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자료없음

영향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토착종과의 경쟁, 농작물피해, 동식물 및 인간에 대한 공격성, 질병매개체로서의 역활, 생물다양성, 문화/경제적 영향 등
외부 영향에 취약한 도서생태계의 경우 설치류 침입은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태평양과 동남아시 아 등에 널리 분포하며 장거리를 수영할 수 없는 특성을 고려할 때, 도서지역에는 사람에 의해 의도적 또 는 비의도적으로 도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태평양쥐의 유입은 동일한 서식지를 이용하는 동물과 식물 모 두에게 피해를 준다. 도서지역을 생활기반으로 하는 조류의 번식 성공률을 저하시켜 심각한 밀도 저하와 절멸에 이르게 하는 한편, 무척추동물의 급속한 밀도 감소 원인이 되기도 한다. 다양한 식물을 먹이자원 으로 이용해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며 고유 식생을 교란한다.
피해종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피해 생태계 사례
뉴질랜드의 취약 생태계에서 많은 동물과 식물 피해가 보고되고 있다. 하와이와 뉴질랜드에서는 태평양쥐 의 서식이 보호 조류에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하와이 일부 도서지역에서는 과실 수확에 심 각한 타격을 입혔다. 조류 및 무척추동물 등의 피해와 함께 수목, 관목, 사초, 잔디, 난초 등 초본식물이 주요 피해 대상이다. 동남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에서는 농업에 해를 입히는 주요 요인으로 인식된다. 직접적인 피해는 뿌리작물과 카카오, 파인애플, 코코넛, 사탕수수, 옥수수, 쌀 등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고되었다.

조절/퇴치

과거 조절/퇴치사업 시행여부 및 시행방법과 결과
자료없음
이 종의 조절/퇴치가 필요한지 여부 및 그 이유
자료없음
조절/퇴치 방법 제안
자료없음

국내·외 침입외래종 지정현황

국내
유입주의 생물
타국가
호주
국제기구
자료없음

참고문헌

참고문헌
- 지정이력 2019. 10. 31. 유입주의 생물 지정 고시 2014. 1. 1. 위해우려종 지정 - 참고자료 김동언, 이희조, 손승훈, 조아람, 송해룡, 이중효, 차진열. 2020. 유입주의 생물 200종. 환경부·국립생태원.

관련 소식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