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외래생물 정보시스템

메인으로 바로가기 사이트맵 바로가기

제거사업

Home > 외래생물 관리 > 제거사업

생태계교란 생물 퇴치사업

환경부는 2009년부터 DMZ(비무장지대), 국립공원, 창녕 우포늪 등 보호지역을 중심으로 보호지역에 서식하는 생태계교란 생물을 퇴치하기 위해 “생태계교란 생물 모니터링”과 “퇴치사업”을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2012년부터는 보호지역 외의 지역에 대해서도 시범 퇴치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2009년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된 뉴트리아를 퇴치하기 위해 생포트랩 설치 및 수매 제도를 도입해 2019년 기준 전국에서 추정 개체 2천마리 이하로 급감하였습니다. 최종 포획일로부터 2년간 동일한 장소에서 뉴트리아가 포획되지 않는 경우 해당지역의 퇴치사업은 종료됩니다.

민,관 외래생물 퇴치 운동 이미지 큰입배스 등 생태계 교란어종을 퇴치하기 위해 천적으로 알려진 우리나라 토종어류인 가물치와 쏘가리를 방류하거나 큰입배스 인공산란장을 설치해 알을 제거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자체도 지역별 우선 퇴치종을 정하여 퇴치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퇴치사업에 대한 공감대와 꾸준한 문제 제기로 생태계교란 생물 퇴치예산이 확보되면서, 전국 규모의 퇴치사업 계획을 세울 수 있게 되었습니다.

생태계교란 생물 퇴치사업은 확산 추세종을 중심으로 강화할 계획입니다. 성과를 얻기 위해 지역 협의체 구성, 국고 보조 확대, 국민 참여형 퇴치운동 등을 해나갈 계획입니다.

생태계교란 생물 퇴치사업 관련 사항은 각 지방·유역 환경청으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01
    지역 협의체 구성
    유역(지방)환경청을 중심으로 지자체, 시민단체, 녹색기업, 군부대 등이 참여하는 지역협의체를 운영할 계획입니다.
    뉴트리아를 포함한 생태계교란 생물의 포획(제거) 방법, 시기, 지역 등 세부 사항을 조율하고 점검할 계획입니다.
  • 03
    민·관 협업 생태계교란 생물 퇴치운동
    외래생물에 의한 생태계 피해를 미리 예방하거나, 이미 문제가 되고 있는 외래생물을 퇴치하려면 국민의 많은 관심과 참여가 꼭 필요합니다.
    환경부는 지자체와 생태계교란 생물 집중포획 시기를 설정해 통합관리하는 성과를 이뤘고 한국도로공사와는 고속도로변의 생태계교란 생물을 퇴치하는 협약을 2013년 9월에 체결해 경부고속도로 주변에 서식하는 단풍잎돼지풀을 집중 제거한 바 있습니다. 2020년에도 원주지방환경청은 양구군, 육군 제21보병사단 등과 함께 단풍잎돼지풀 제거사업을 벌였습니다.
    영산강유역환경청은 삼성전자 광주공장과 1사 1 생태계교란 생물 퇴치 협약을 체결해 생태하천 주변을 관리하는 등 민간의 생태계교란 생물 퇴치에 대한 동참을 이끌어 내도록 노력하였습니다.
  • 05
    맞춤형 최적화 방제기술 개발
    생태계교란 생물을 조기에 조절·퇴치하는 기술 개발이 목적입니다.
    천적 자생생물의 탐색, 외래생물 억제를 위한 고유생태계 조성과 관리기술, 외래생물을 매개로 한 질병의 진단·제어 기술 개발 등을 추진할 계획 입니다.
  • 02
    지역별 우선순위 선정
    국립공원, 람사르 등록습지 등 생태계 우수지역, 자연환경 피해를 가장 많이 입은 지역 순으로 생태계교란 생물 퇴치사업을 강화할 것입니다.
  • 04
    국민 참여형‘외래생물 퇴치운동’전개
    지역주민, 시민단체, 기업체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수 있는 퇴치운동을 전개하겠습니다.
    퇴치운동으로는 천적 방류(쏘가리, 가물치), 시식회(황소개구리, 큰입배스, 파랑볼우럭), 낚시 대회 등이 있습니다.

사례 : 뉴트리아 퇴치사업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이 세계 100대 악성 외래생물로도 지정한 뉴트리아는 2009년 환경부의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되었습니다. 외형은 수달과 비슷하고 번식력도 강한 동물로 경상남도를 중심으로 마릿수가 크게 늘면서 인근의 농작물(당근, 미나리 등)피해는 물론 늪지 훼손 등 심각한 환경문제를 낳고 있습니다.

  • 01
    뉴트리아 퇴치 전담인력 운영
    낙동강유역환경청은 2007년부터 람사르 등록 습지인 창녕 우포늪에서 지역주민 감시원과 함께 뉴트리아 퇴치 노력을 기울여왔습니다.
    집중퇴치 기간에는 주민 감시원과 전담 관리원을 채용하여, 서식지 파악과 트랩 설치에 나선 바 있습니다.
  • 03
    관계기관 협업
    환경청과 지자체 담당자들이 모인 지역협의체는 합동 집중퇴치 기간 (’13.11.25~12.20)을 정해 1,030여 마리를 포획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2013년 한해동안 총 3,349마리를 퇴치하여 전년(’12년 1,135마리) 대비 세 배에 이르는 성과를 올렸습니다.
    이처럼 관계기관과 협업하여 일정기간 동시에 뉴트리아를 퇴치함으로써, 퇴치효율을 높이고 지자체별로 들쑥날쑥하던 수매 단가를 2만원 (’14년)으로 조정하였습니다.
  • 02
    퇴치방법 다양화
    여러 마리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인공섬 트랩’을 최초로 개발하고, 이를 낙동강 유역 소하천에 설치하여 많은 개체를 포획하는 성과가 있었습니다.
    포획 방법으로는 수매 제도(77%), 포획단 운영(15%), 자체인력 활용(8%) 순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뉴트리아의 완전한 퇴치를 위해 퇴치 방법을 좀 더 다양화할 계획입니다.
  • [뉴트리아 퇴치 인공섬 트랩] [트랩에 갇힌 뉴트리아]

환경부는 2023년까지 뉴트리아의 완전제거를 목표로 하는 「뉴트리아 퇴치프로그램 실천계획 (’14~’23년)」을 2014년 4월에 마련한 바 있습니다. 향후 10년간 총 107억 원을 들여 뉴트리아 퇴치에 나설 계획입니다.

퇴치전략위원회를 중심으로 권역별 퇴치사업단 (환경청, 지자체 등)을 운영하며, 국립생태원의 기술 지원을 받아 단계별 프로그램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환경부, 지자체 및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뉴트리아 퇴치전략위원회”를 구성하고 뉴트리아 퇴치를 위한 제도 개선, 퇴치 전략과 세부 실행방안 등에 대한 정책자문을 실시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광범위하게 분포한 뉴트리아를 퇴치하기에는 환경부만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환경청, 지자체, 관련 협회 등이 참여하는“뉴트리아 퇴치 사업단”을 구성할 계획입니다.

끝으로 뉴트리아 확산 모델 연구, 포획기술 개발 등을 지원하는“뉴트리아 퇴치지원 사업단”을 국립생태원에 두어 환경청의 퇴치사업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뉴트리아 퇴치프로그램 실천 계획 1단계 서식실태 조사, 2단계 퇴치사업 실시, 3단계 서식밀도가 낮은 지역 완전 제거, 4단계 제거 확인과 사업 종료 단계를 설명한 그림

서식 유형, 시기별 활동 주기를 분석해 확산모델을 연구하고 뉴트리아 생태특성에 기초한 포획기술과 사용자 맞춤형 트랩을 운영할 계획입니다.

중앙통제센터 전송시스템, 포획트랩 자동 송신장치, 화학물질과 천적 이용 등의 다양한 기술을 개발·적용할 계획입니다.

관리자, 전담반,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맞춤형 교육으로 전문성을 높이고, 기록 관리를 통한 통계 분석 등 종합적인 접근으로 최선의 퇴치프로 그램을 운영해 나갈 계획입니다.

생태계교란 생물 모니터링

생물다양성을 지켜내려면 생태계교란 생물의 모니터링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2007년부터 매년 생태계교란 생물의 분포, 출현 등을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그 결과를 환경청, 지자체 등 관계기관에 알려주고 있습니다.

  • 01
    모니터링과 변화 예측기술 개발
    중장기에 걸쳐 외래생물의 분포 현황을 모니터링 하고 변화의 흐름을 예측하여 최적의 외래생물 제어·관리 방안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생태계 변화 정보 실시간 수집기술, 모니터링 데이터 처리기술, 지리정보시스템(GIS)에 기반을 둔 외래생물 감시기술 등을 포함할 계획입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