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외래생물 정보시스템

메인으로 바로가기 사이트맵 바로가기

생태계위해우려 생물 검색

Home > 생태계위해우려 생물 > 생태계위해우려 생물 검색 > 생태계위해우려 생물 상세보기

대서양연어 Salmo salar

  • 대서양연어
    1. 영명 : Atlantic salmon
    2. 분류군 : 어류
    3. 분류체계 : 척삭동물문(Chordata) > 조기강(Actinopterygii) > 연어목(Salmoniformes) > 연어과(Salmonidae) > (Salmo)
    4. 관리현황 : 생태계위해우려종

생활사

형태특성

색, 몸길이, 몸무게, 암·수컷비교 등의 특징
몸길이는 보통 38cm이며 최대 150cm까지 자라 연어 중에서 가장 크다. 무게는 46.8kg 정도이다. 치어는 측면에 푸른빛이나 보랏빛이 도는 반점이 8-12개 있고, 그 사이사이에 작고 빨간 반점이 있다. 바다에 사는 성어는 등 쪽은 어두운 푸른색, 배 쪽은 은백색이며 옆줄 위로 검은 반점이 몇 개 있다. 산란기에는 혼인색을 띠어 수컷은 빨갛게 얼룩덜룩해지거나 커다란 검정색 반점이 생긴다. 산란 후에는 혼인색이 사라지고 어두워진다. 산란기에 수컷은 턱이 길게 구부러지고 지느러미가 두꺼워지며, 몸통이 점액질로 덮인다. 등지느러미 극조는 3-4개, 연조는 9-15개이다. 뒷지느러미 극조는 3-4개, 연조는 7-11개, 꼬리지느러미 연조는 19개이다. 척추뼈는 58-61개이며, 옆줄과 기름지느러미 사이에는 비늘이 10-13개 있다. 새파는 17-24개이다. 꼬리지느러미는 각각 깊게 갈라져 있고 20cm보다 짧다. 이빨이 발달했다.
토종경쟁종 목록 및 토종경쟁종과 비교
국내에 서식하는 산천어(Onchorthynchus masou masou), 연어(O. keta)와 유사하지만 반문과 체색에서 차이가 있다.
아종(Subspeices)
자료없음

생태특성

서식지환경
바다, 민물, 기수역을 지나는 회귀성 어종이다. 환경이 바뀌면 몸에 변화가 나타난다. 개울에 적응할 때는 커다란 회색 반점이 나타나고 바다에 적응할 때는 측면이 은빛으로 변한다. 내분비적으로도 변화가 나타나 삼투압에 적응할 수 있다.
생식(Reproduction) & 발생 (Development)방법
개울 자갈에다 산란장을 만든다. 포란 수는 8,000-25,000개이며 산란 후에 대부분 수컷은 죽고, 암컷의 10-40%는 살아서 바다로 돌아간다.
섭식(food habits) & 먹이사슬(food chain)
치어는 주로 수생 곤충, 연체 동물, 갑각류 및 어류를 먹는다. 바다에서 성체는 오징어, 새우, 생선을 먹는다.
수명(lifespan/longevity)
수명은 13년이다.
기타(개체군 밀도, 주 활동시간대, 무리(집단) 생활유무 등)
자료없음

도입특성

원산지
북대서양, 북유럽
도입시기
2016년
도입용도
연구 및 양식용

분포특성

국내분포범위, 최초관찰 시기 및 및 장소
자료없음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자료없음
유입경로 및 원인
자료없음
자연생태계에서의 생존가능성 기입 및 그 이유
자료없음
생존가능 시 서식가능지역
자료없음
천적존재 여부 및 천적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자료없음

영향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토착종과의 경쟁, 농작물피해, 동식물 및 인간에 대한 공격성, 질병매개체로서의 역활, 생물다양성, 문화/경제적 영향 등
다른 연어에 비해 상당히 공격적이어서 Chinook salmon과 Coho salmon 같은 토종 연어류를 공격할 우려가 있다. 사육하면 스트레스를 받아 질병에 더욱 취약해진다. 그래서 바닷물이(Lepeophtheirus salmonis) 같은 기생충이 야생종으로 퍼질 가능성이 있다.
피해종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피해 생태계 사례
전염성 조혈기 괴사증 바이러스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 부화장에 있는 대서양연어가 감염되면 이주하는 태평양 연어들에게도 전염된다. 노르웨이에서는 태풍 때 대서양연어가 어장에서 탈출하면서 야생 개체군에게 질병과 기생충을 퍼트렸다. 토종 연어나 다른 어류와 먹이, 서식지 경쟁을 벌이고 이 과정에서 잡종이 생기기도 한다. 교배가 일어나면 야생종의 생존 능력이 감소한다. 어장에 있는 치어 또한 공격성이 강해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한다.

조절/퇴치

과거 조절/퇴치사업 시행여부 및 시행방법과 결과
자료없음
이 종의 조절/퇴치가 필요한지 여부 및 그 이유
자료없음
조절/퇴치 방법 제안
자료없음

국내·외 침입외래종 지정현황

국내
생태계위해우려 생물
타국가
중국, 유럽
국제기구
자료없음

참고문헌

참고문헌
- 지정이력 2021. 2. 26. 생태계위해우려 생물 지정 고시 2019. 10. 31. 유입주의 생물 지정 고시 2016. 6. 15. 위해우려종 지정 - 참고자료 김동언, 이희조, 손승훈, 조아람, 송해룡, 이중효, 차진열. 2020. 유입주의 생물 200종. 환경부·국립생태원.

관련 소식

유관 사이트 연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