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입주의 생물 검색

> 유입주의 생물 > 유입주의 생물 검색 >
유입주의 생물 상세보기
-
- 영명 : Mandarin fish
- 분류군 : 어류
- 분류체계 : > > > 어류 >
- 관리현황 : 유입주의 생물
생활사
형태특성
- 색, 몸길이, 몸무게, 암·수컷비교 등의 특징
- 몸은 최대 70cm까지 자랄 수 있다. 몸은 옅은 황갈색이고, 몸 전체에 불규칙한 반문이 있으며, 입술부터
눈 부분까지 짙은 회색 줄무늬가 있다. 몸은 측편되었으며, 아래턱이 튀어나왔고, 위턱 후단은 눈 기저부
를 지난다. 이빨은 톱니 모양으로 날카롭다. 아래턱 부분에는 날카로운 가시가 4-5개 있으며, 아가미뚜껑
뒤쪽 가장자리에도 날카로운 가시가 2개 있다. 등지느러미 극조가 잘 발달했으며, 등지느러미 후연은 둥
글다. 가슴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의 외연은 둥글며, 뒷지느러미에는 날카로운 가시가 3개
있다. 유사종인 쏘가리는 윗입술부터 눈 부분까지 짙은 줄무늬가 없어 구별된다.
- 토종경쟁종 목록 및 토종경쟁종과 비교
- 자료없음
- 아종(Subspeices)
- 자료없음
생태특성
- 서식지환경
- 깨끗한 물을 선호하며, 돌과 나무뿌리, 수초 등 숨을 수 있는 장소가 있는 하천이나 강에서 주로 서식한다.
수온이 1-5℃로 떨어지는 겨울철에는 수심이 깊은 곳으로 이동해 월동한다.
- 생식(Reproduction) & 발생 (Development)방법
- 수온 26-30℃에서 번식한다. 번식기에는 강의 굴곡진 부분이나 합류지점에 높은 밀도로 모이며, 성숙한 암컷은 야간에 흐르는 물에서 알을 30,000-200,000개 낳는다.
- 섭식(food habits) & 먹이사슬(food chain)
- 수온이 15℃ 이상으로 오르면 적극적으로 섭식 활동을 시작한다. 육식성으로 살아 있는 물고기, 새우류 등 작은 수생동물을 먹지만, 특히 물고기를 주로 먹는다.
- 수명(lifespan/longevity)
- 자료없음
- 기타(개체군 밀도, 주 활동시간대, 무리(집단) 생활유무 등)
- 중국 남부지역에서는 3-8월에 가장 활동적이며, 중부지역에서는 5-8월에 활동하고, 6-7월에 가장 활발하다.
도입특성
- 원산지
- 중국
- 도입시기
- 자료없음
- 도입용도
- 자료없음
분포특성
- 국내분포범위, 최초관찰 시기 및 및 장소
- 자료없음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 자료없음
- 유입경로 및 원인
- 자료없음
- 자연생태계에서의 생존가능성 기입 및 그 이유
- 자료없음
- 생존가능 시 서식가능지역
- 자료없음
- 천적존재 여부 및 천적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 자료없음
영향
-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토착종과의 경쟁, 농작물피해, 동식물 및 인간에 대한 공격성, 질병매개체로서의 역활, 생물다양성, 문화/경제적 영향 등
- 포식성이 강해 토착어류 군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국내 종인 꺽지 및 쏘가리와 경쟁할 수 있다. 또한
이리도바이러스와 랍도바이러스의 숙주로 양식 어류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 피해종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피해 생태계 사례
- 이리도바이러스와 랍도바이러스는 OIE(The World Organisation for Animal Health)에 전염성 어류 병원균으로 등재되었으며, 중국쏘가리는 이리도바이러스와 랍도바이러스의 숙주로 해양 및 담수 어류를 감염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조절/퇴치
- 과거 조절/퇴치사업 시행여부 및 시행방법과 결과
- 자료없음
- 이 종의 조절/퇴치가 필요한지 여부 및 그 이유
- 자료없음
- 조절/퇴치 방법 제안
- 자료없음
국내·외 침입외래종 지정현황
- 국내
- 자료없음
- 타국가
- 일본
- 국제기구
- 자료없음
참고문헌
- 참고문헌
- 김동언, 이희조, 손승훈, 조아람, 송해룡, 이중효, 차진열. 2020. 유입주의 생물 200종. 환경부·국립생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