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입주의 생물 검색
			
 > 유입주의 생물   >  유입주의 생물 검색 > 
유입주의 생물 상세보기   
		    
		
		
		
		
		
		
			
				- 
					
						- 영명  :  Bleak
 
						- 분류군 :  어류
 
						- 분류체계 :   >  >  >  > 
 
						- 관리현황 :  유입주의 생물
 
						
						
						
						
					
					
					
					 
					
					
 
				 
			
		 	
		
		
		
						
		
			 
				
				생활사
				형태특성
 
					
					- 색, 몸길이, 몸무게, 암·수컷비교 등의 특징
 
					- 몸길이는 최대 25cm이다. 체색은 은빛이며, 지느러미에 색이 없다. 형태는 길쭉하고 
평평하다. 머리는 뾰족하고 비교적 작은 입은 위로 향한다. 꼬리지느러미는 양쪽으로 
갈라져 있으며, 뒷지느러미는 길다. 기조는 18-23개이고 측선은 완전하며 약간 아래
로 휘어져 있다.	
					
 
					- 토종경쟁종 목록 및 토종경쟁종과 비교
 
					- 자료없음	
					
 
					- 아종(Subspeices)
 
					- 자료없음	
					
 
				
				
			
				
				생태특성
 
				
					- 서식지환경
 
					- 서식지는 하천과 호수이고, 큰 무리를 지어 수면 근처에 서식한다. 가끔 수심이 깊은 
곳에서도 발견되나 하상은 중요하지 않다. 
 
					- 생식(Reproduction) & 발생 (Development)방법
 
					- 산란기는 수온이 12℃ 이상인 5월에서 8월 
사이이고 1-2주 간격으로 얕은 물가에서 산란한다. 치어는 부화 후 2-3년 뒤에 산란이 
가능하며, 산란은 보통 1-2년간 이어진다. 
 
					- 섭식(food habits) & 먹이사슬(food chain)
 
					- 먹이자원은 작은 연체동물과 물에 떨어지
는 곤충, 갑각류, 식물 파편 등을 이용한다.
 
					- 수명(lifespan/longevity)
 
					- 자료없음 
 
					- 기타(개체군 밀도, 주 활동시간대, 무리(집단) 생활유무 등)
 
					- 다른 잉어과 어류보다 오염에 민감한데, 북
서유럽의 개체수 감소의 주요 원인이다. 육식성 어류의 중요한 먹이원이 된다.  
 
				
				도입특성
  
				
					- 원산지
 
					- 유럽, 서아시아: 코카서스와 피레네, 알프스의 북쪽, 볼가 분지, 터키의 북서부 
 
					
					- 도입시기
 
					- 자료없음 
 
					- 도입용도
 
					- 자료없음 
 
				
		
				분포특성
 
				
					- 국내분포범위, 최초관찰 시기 및 및 장소
 
					- 자료없음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 자료없음
    
					- 유입경로 및 원인
 
					- 자료없음
    
					- 자연생태계에서의 생존가능성 기입 및 그 이유
 
					- 자료없음
    
					- 생존가능 시 서식가능지역
 
					- 자료없음
    
					
					
					- 천적존재 여부 및 천적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 자료없음
   
					
				
				영향
 
				
					-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토착종과의 경쟁, 농작물피해, 동식물 및 인간에 대한 공격성, 질병매개체로서의 역활, 생물다양성, 문화/경제적 영향 등
 
					- 잉어과의 근연속(Leuciscus, Rutilus)과 교잡하여 잡종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국내에는 근연속들이 없다. 표층성 어류로 하천과 호수에 큰 집단을 이루는 종
이기 때문에 국내에 유입될 경우 급격한 확산이 우려된다.
 
 					- 피해종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피해 생태계 사례
 
					- 스페인과 포르투갈, 이탈리아에 유입되어 급격히 확산되었다. 이탈리아의 Leuciscus 
cephalus cabeda와 영국 Leuciscus cephalus, 그리스 Rutilus rubilio 등과 잡종을 형
성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조절/퇴치
 
				
					- 과거 조절/퇴치사업 시행여부 및 시행방법과 결과
 
					
					- 자료없음  
 
					- 이 종의 조절/퇴치가 필요한지 여부 및 그 이유
 
					- 자료없음 
 
					- 조절/퇴치 방법 제안
 
					- 자료없음 
 
				
				국내·외 침입외래종 지정현황
 
				
					- 국내
 
					- 유입주의 생물 
 
					- 타국가
 
					- 미국 
 
					- 국제기구
 
					- 자료없음 
 
				
				
				
					참고문헌
  
					
					- 참고문헌
 
					- 김동언, 손승훈, 조아람, 이희조, 송해룡, 차진열. 2021. 유입주의 생물 100종 Ⅱ. 환경부·국립생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