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외래생물 정보시스템

메인으로 바로가기 사이트맵 바로가기

외래생물 검색

Home > 외래생물 > 외래생물 검색 > 외래생물 상세보기

황송사리 Oryzias latipes

  • 황송사리
    저작권 안내 : 국립생태원
    1. 영명 : Japanese rice fish
    2. 분류군 : 어류
    3. 분류체계 : > 어류 > 동갈치 > >
    4. 관리현황 : 외래생물

    사진 더보기

생활사

형태특성

색, 몸길이, 몸무게, 암·수컷비교 등의 특징
몸은 측편되어 있고 머리의 등쪽은 종편되어 두정부가 약간 편평하다. 체고는 높고 미병부로 가면서 급격히 낮아진다. 아악은 상악 보다 약간 길며 입은 문단 상단부에 위치해 있다. 수컷의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기조는 암컷 보다 약간 길고 뒷지느러미 외연은 톱니 모양이다. 대체로 수컷이 암컷 보다 크며 몸은 회갈색으로 밝으며 복부는 더욱 밝은 색이다. 비늘의 뒷부분에 작은 흑점이 있고 몸의 옆면에는 흑색 점이 산재한다. 몸길이가 최대 4㎝인 소형종이다.
토종경쟁종 목록 및 토종경쟁종과 비교
국내의 송사리와 동일종이며 일본에서 도입한 송사리 개체를 말한다. 만일 국내의 하천에 유입될 경우 증식이 이루어 질 것으로 추정되며, 국내산 송사리와 서식지 및 먹이 경쟁이 일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아종(Subspeices)
자료없음

생태특성

서식지환경
수심이 얕고 정체된 수역인 하천 하류의 수변부 웅덩이, 농수로, 연못, 저수지 등을 선호한다.
생식(Reproduction) & 발생 (Development)방법
자료없음
섭식(food habits) & 먹이사슬(food chain)
동물성 플랑크톤
수명(lifespan/longevity)
1∼2년
기타(개체군 밀도, 주 활동시간대, 무리(집단) 생활유무 등)
자료없음

도입특성

원산지
일본
도입시기
1999년
도입용도
의학․실험용

분포특성

국내분포범위, 최초관찰 시기 및 및 장소
실험실에서 제한적으로 사육되고 있으며 이들 개체가 하천으로 유출된 기록은 없다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자연생태계에 유입된 기록이 없음
유입경로 및 원인
자료없음
자연생태계에서의 생존가능성 기입 및 그 이유
자연생태계로 유입되면 성장 및 생식이 가능하며 국내의 송사리와 동일한 집단을 형성할 것이다.
생존가능 시 서식가능지역
생존 가능 시 서식 가능지역은 하천 하류역과 기수역의 수변부 웅덩이, 저수지, 연못, 농수로 등이다.
천적존재 여부 및 천적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자료없음

영향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토착종과의 경쟁, 농작물피해, 동식물 및 인간에 대한 공격성, 질병매개체로서의 역활, 생물다양성, 문화/경제적 영향 등
실험 대상 어종으로 도입된 개체이며 실험실에서 제한적으로 사육되었으며 실험이 끝나면 소멸될 것이다. 하천으로 유출되지 않으면 국내의 하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피해종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피해 생태계 사례
자료없음

조절/퇴치

과거 조절/퇴치사업 시행여부 및 시행방법과 결과
자료없음
이 종의 조절/퇴치가 필요한지 여부 및 그 이유
자료없음
조절/퇴치 방법 제안
자료없음

국내·외 침입외래종 지정현황

국내
자료없음
타국가
자료없음
국제기구
자료없음

참고문헌

참고문헌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담수어류), 1997, 교육부.

관련 소식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