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외래생물 정보시스템

메인으로 바로가기 사이트맵 바로가기

생태계위해우려 생물 검색

Home > 생태계위해우려 생물 > 생태계위해우려 생물 검색 > 생태계위해우려 생물 상세보기

아프리카발톱개구리 Xenopus laevis

  • 아프리카발톱개구리
    1. 영명 : African clawed frog
    2. 분류군 : 양서류
    3. 분류체계 : 척삭동물문(Chordata) > 양서강(Amphibia) > 무미목(Anura) > (Pipidae) > (Xenopus)
    4. 관리현황 : 외래생물, 생태계위해우려종

생활사

형태특성

색, 몸길이, 몸무게, 암·수컷비교 등의 특징
몸길이는 수컷 4.56-9.75cm, 암컷은 5.7-14.7cm로 크기 변이가 다양하고 수컷은 울음주머니가 없 지만, 길고 짧은 떨림음으로 암컷을 유혹한다. 보통 암컷이 수컷보다 20% 정도 크며, 수컷에 비해 몸통 과 다리가 두껍다. 몸은 대개 어두운 회색이며 등 쪽으로 녹갈색을 띠고, 배면은 색이 옅다. 발톱개구리과 (Pipidae)의 대부분 종이 그렇듯이 혀와 이빨이 없다. 수컷은 발바닥에 작은 털이 나 있고, 암컷은 꽁무니 에 돌기가 튀어나온 것이 특징이다. 몸 전체에 얼룩무늬가 있고 뒷발 발가락 3개에 달린 발톱이 매우 단단 하다. 암컷과 수컷 모두 배설강(배설기와 생식기를 겸하는 구멍)이 하나다.
토종경쟁종 목록 및 토종경쟁종과 비교
자료없음
아종(Subspeices)
자료없음

생태특성

서식지환경
서식 범위가 굉장히 넓으며, 일생을 물속에서 지낸다. 식욕이 왕성해서 앞에 지나가는 것은 무엇이든지 공격하고 포식한다. 성체가 되어도 물속에서 생활 하며, 폐로 공기호흡을 한다. 발톱으로 진흙 속을 헤집고 들어가 숨으며 올챙이는 부화 약 30일 후에 뒷다 리가 나오고 약 45일 후에 앞다리가 나온다.
생식(Reproduction) & 발생 (Development)방법
연중 아무 때나 번식 가능하나, 대개 봄에 많이 번식하며, 한 해에 4번까지 번식 가능하다. 알에서 변태하기까지 6-8주가 걸리며 성적 성숙까지는 10-12개월이 걸 린다. 3-4시간 동안 한 번 또는 그 이상 알을 낳으며 보통 알을 1,000-27,000개 낳아 식물이나 기둥 같 은 물체에 붙인다.
섭식(food habits) & 먹이사슬(food chain)
곤충, 수생 갑각류, 어류, 죽은 동물과 유기물도 먹는다.
수명(lifespan/longevity)
수명은 보통 5-15년이지만 20-25년까지 생존한 기록도 있다.
기타(개체군 밀도, 주 활동시간대, 무리(집단) 생활유무 등)
자료없음

도입특성

원산지
앙골라, 보츠와나, 카메룬, 중앙아프리카
도입시기
자료없음
도입용도
자료없음

분포특성

국내분포범위, 최초관찰 시기 및 및 장소
자료없음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자료없음
유입경로 및 원인
자료없음
자연생태계에서의 생존가능성 기입 및 그 이유
자료없음
생존가능 시 서식가능지역
자료없음
천적존재 여부 및 천적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자료없음

영향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토착종과의 경쟁, 농작물피해, 동식물 및 인간에 대한 공격성, 질병매개체로서의 역활, 생물다양성, 문화/경제적 영향 등
환경 적응력이 굉장히 좋으며, 토착 생물을 포식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저가로 쉽게 구입할 수 있어서 자연생태계에 방사될 우려가 매우 높다. 해외에서는 박물관에 보관 중이던 표본에서 항아리곰팡이병 (Chytridiomycosis)이 발견된 사례가 있다. 항아리곰팡이를 옮기는 매개체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적법한 절차 없이 국내로 들어와 야생으로 유입될 경우 야생 양서류 생존에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피해종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피해 생태계 사례
1940년대에 사람의 임신 테스트에 쓸 목적으로 여러 나라에 도입되었으나 나중에 더 효과적인 임신 테 스트 방법이 개발되자 자연으로 방사되어 세계 각지로 퍼지게 되면서 기존 토착종을 교란시켰다. 아프리 카발톱개구리에 기생하던 아프리카 항아리곰팡이가 변이를 일으켜 토착 양서류들을 감염시켜 세계적으 로 항아리곰팡이병이 유행한 사례가 있다. 국내에서는 2015년 7월 청주에서 발견되었다.

조절/퇴치

과거 조절/퇴치사업 시행여부 및 시행방법과 결과
자료없음
이 종의 조절/퇴치가 필요한지 여부 및 그 이유
자료없음
조절/퇴치 방법 제안
자료없음

국내·외 침입외래종 지정현황

국내
생태계위해우려 생물
타국가
유럽, 영국, 미국
국제기구
자료없음

참고문헌

참고문헌
- 지정이력 2021. 8. 31. 생태계위해우려 생물 지정 고시 2019. 10. 31. 유입주의 생물 지정 고시 2015. 12. 14. 위해우려종 지정 - 참고자료 김동언, 이희조, 손승훈, 조아람, 송해룡, 이중효, 차진열. 2020. 유입주의 생물 200종. 환경부·국립생태원.

관련 소식

유관 사이트 연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