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외래생물 정보시스템

메인으로 바로가기 사이트맵 바로가기

생태계교란 생물 검색

Home > 생태계교란 생물 > 생태계교란 생물 검색 > 생태계교란 생물 상세보기

꽃매미 Lycorma delicatula

  • 꽃매미
    저작권 안내 : 공공누리 제1유형
    저작권자: 국립생태원 외래생물팀 [다운로드]
    1. 영명 : Spotted lanternfly
    2. 분류군 : 곤충
    3. 분류체계 : 절지동물문(Arthropoda) > 곤충강(Insecta) > 노린재목(Hemiptera) > 꽃매미과(Fulgoridae) > 주홍날개꽃매미속(Lycorma)
    4. 관리현황 : 외래생물, 생태계교란 생물

    사진 더보기 국가생물다양성정보공유체계 종정보 보기

생활사

형태특성

색, 몸길이, 몸무게, 암·수컷비교 등의 특징
알은 타원형의 갈색을 띠며 평균 40~50여개의 덩어리로 낳는다. 4령의 약충 과정을 거쳐 성충으로 우화하며 2~3령의 몸색은 검은색 바탕에 흰점이 산재해 있고, 4령의 몸색은 붉은색 바탕에 흰점이 산재해 있다. 성충의 몸길이는 평균 15~20mm 정도, 날개를 편 길이는 평균 35~45mm 정도이다. 뒷날개의 1/2은 붉은색 바탕에 검은 반점과 흑갈색을 띤다. 암컷은 복부 끝마디에 붉은색의 산란관을 가진다.
토종경쟁종 목록 및 토종경쟁종과 비교
자료없음
아종(Subspeices)
자료없음

생태특성

서식지환경
자료없음
생식(Reproduction) & 발생 (Development)방법
알이 영하 10℃에도 살아있는 것으로 보아 국내 전역에서 월동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7월경 성충이 나타나고 주로 8~9월에 밀도가 가장 높으며 10월 말까지 관찰된다. 기주식물의 줄기나 가지, 시멘트나 철근 구조물 등의 고체 표면에 알을 산란한다. 선호수종은 가죽나무, 버드나무, 때죽나무, 은사시나무, 포도나무, 배나무 등 총 40여 종의 기주식물이 확인되었다.
섭식(food habits) & 먹이사슬(food chain)
자료없음
수명(lifespan/longevity)
자료없음
기타(개체군 밀도, 주 활동시간대, 무리(집단) 생활유무 등)
자료없음

도입특성

원산지
중국 남부 및 동남아시아의 더운 지방
도입시기
자료없음
도입용도
비의도적

분포특성

국내분포범위, 최초관찰 시기 및 및 장소
1932년에 최초로 보고된 기록이 있으나 국내에 정착을 하지 못하고 사라졌다가 최근에 재침입한 것으로 판단되며 2006년 피해가 보고된 해충이다. 현재 서울, 인천, 경기, 충북 청주, 충남 천안, 공주, 세종, 전북 정읍, 경북 상주 등에서 발생을 하였으며, 도시근교 아파트 등 공동주택 주변 산림이나, 포도원에 대발생했다.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자료없음
유입경로 및 원인
유입 경로는 확실하지 않으나 비의도적으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자연생태계에서의 생존가능성 기입 및 그 이유
자료없음
생존가능 시 서식가능지역
자료없음
천적존재 여부 및 천적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자료없음

영향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토착종과의 경쟁, 농작물피해, 동식물 및 인간에 대한 공격성, 질병매개체로서의 역활, 생물다양성, 문화/경제적 영향 등
대규모 포도 재배단지인 천안 일대와, 경산, 영천, 옥천과 청주 등의 포도재배지에서 발생했다. 포도재배지 이외에도 매실, 복숭아, 사과, 자두, 키위 등의 과수에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문제될 정도로 확산된 사례는 아직 없다. 피해유형으로 직접적으로 포도나무 등을 흡즙하여 생장을 늦어지게 하거나, 꽃매미가 분비하는 감로에 의한 그을음병을 유발시켜 주변 식물을 고사시키고 잎의 광합성을 저해해 대사활동을 방해한다. 그리고 과실의 숙성을 저해하며, 상처를 내어 병을 감염시킨다. 과실 표면에 발생한 그을음병은 상품가치를 훼손시켜 경제적 피해를 가중시킨다.
피해종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피해 생태계 사례
포도, 매실, 복숭아, 사과, 자두, 키위 등의 과수에 피해를 준다

조절/퇴치

과거 조절/퇴치사업 시행여부 및 시행방법과 결과
자료없음
이 종의 조절/퇴치가 필요한지 여부 및 그 이유
자료없음
조절/퇴치 방법 제안
제한적으로 나타나는 경우에는 잡아내거나 알을 없애는 방법으로 집중적인 제거를 할 수 있다. 대규모 포도재배지 등에서 경작지나 과수원의 해충 관리 차원에서 살충제 등을 살포하여 꽃매미를 제거하지만 주변인가나 산지 등에서 피해 사는 꽃매미가 다시 날아들면서 박멸이 어렵다. 도로변 가로수 해충 관리 차원에서도 살충제 등을 살포하나 어느 경우에도 살충제가 자연으로 무분별하게 나가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산 주변부나 하천변 등에서 발생한 경우에는 특히 살충제 살포등을 지양하고 물리적인 제거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 산간계곡 등에서는 살충제 살포로 육상곤충의 생육이 크케 제한되고 물고기 생육에도 피해를 입힐 수 있어 자연 상태의 곤충상 변화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국내·외 침입외래종 지정현황

국내
생태계교란 생물
타국가
자료없음
국제기구
자료없음

참고문헌

참고문헌
- 지정이력 2013. 2. 2. 생태계교란 생물 지정 고시 2012. 12. 31. 생태계교란 야생생물(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 참고자료 한국의 주요 외래 동식물. 2011. 국립환경과학원

관련 소식

유관 사이트 연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