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외래생물 정보시스템

메인으로 바로가기 사이트맵 바로가기

유입주의 생물 검색

Home > 유입주의 생물 > 유입주의 생물 검색 > 유입주의 생물 상세보기

태즈메이니아캥거루 Macropus giganteus tasmaniensis

    1. 영명 : Eastern grey kangaroo, Great grey kangaroo, Forester kangaroo
    2. 분류군 : 포유류
    3. 분류체계 : > > > >
    4. 관리현황 : 유입주의 생물

생활사

형태특성

색, 몸길이, 몸무게, 암·수컷비교 등의 특징
유대류 중 두 번째로 몸이 크고 무거운 호주의 고유종이다. 코에서 꼬리까지의 몸길이가 264cm에 달한다. 꼬리가 강하며 수컷은 길이가 100cm에 달한다. 성숙한 수컷의 무게는 50-66kg, 암컷은 17-40kg이다. 부드러운 연회색이나 회갈색 털을 지니고 있으며, 복부는 연한 은색이나 흰색을 띤다. 최대 시속은 64km가 기록되었다.
토종경쟁종 목록 및 토종경쟁종과 비교
자료없음
아종(Subspeices)
자료없음

생태특성

서식지환경
선호하는 서식지는 초원이 개간된 경엽수림 지역이고, 개방된 초지나 덤불, 습윤지대 등에서도 서식한다. 해안가나 삼림지대, 아열대림, 산림, 관목지 등에서 서식이 확인되었다.
생식(Reproduction) & 발생 (Development)방법
평균 3개체 정도로 군집을 이루며 섭식장소에서 먹이활동 하는 것을 선호하며, 서열을 이룬다. 세력권을 형성하지는 않으나 무리 내 암컷이 들어오면 경쟁을 한다. 암컷 간 유대관계가 형성되며 주로 여름에 번식을 한다. 건기에는 수컷이 정자를 생산하지 않고, 암컷도 임신을 하지 않는다. 임신기간은 39일 정도이며 1마리 정도 출산한다. 수컷 없이 암컷만 새끼를 양육하며 새끼는 이유가 시작되는 생후 550일까지 어미에 의존한다. 암컷은 17-28개월, 수컷은 25개월이 되면 성적으로 성숙해진다. 수명은 15-20년이다.
섭식(food habits) & 먹이사슬(food chain)
근연종의 경우 관목을 먹이자원으로 이용하기도 하지만, 다양한 종류의 풀만을 섭식한다.
수명(lifespan/longevity)
자료없음
기타(개체군 밀도, 주 활동시간대, 무리(집단) 생활유무 등)
호주 본섬의 아종과 14000년 전에 분리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미토콘드리아 DNA의 경우, 1%도 차이가 나지 않아서 아종으로 구분하는 것이 보증되지 않았다. 본섬의 아종과 달리 개체수가 계속 감소하여 복원 노력이 있었다.

도입특성

원산지
호주(테즈매니아)
도입시기
자료없음
도입용도
자료없음

분포특성

국내분포범위, 최초관찰 시기 및 및 장소
자료없음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자료없음
유입경로 및 원인
자료없음
자연생태계에서의 생존가능성 기입 및 그 이유
자료없음
생존가능 시 서식가능지역
태즈매니아 섬의 기후대는 4계절이 뚜렷한 온대성 기후이지만 연중 영하로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국내에 유입될 경우 제주도 및 한반도 남부 일부 지역에 적응 및 서식할 가능성이 있다. 서식환경이 국내와 달라 자연생태계에 노출 시 지속적인 생존과 개체군 유지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일부 바이러스 보균 및 농작물과 고유 식물 피해 등의 보고가 있어 자연생태계로 유기되지 않도록 관리할 필요가 있다.
천적존재 여부 및 천적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자료없음

영향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토착종과의 경쟁, 농작물피해, 동식물 및 인간에 대한 공격성, 질병매개체로서의 역활, 생물다양성, 문화/경제적 영향 등
딩고(Canis lupus dingo) 등 일부 종의 감소를 초래하였다. 또한, 초본과 관목 등의 고육식생을 섭식함으로써 초기 천이단계에서의 식생 생장에 악영향을 초래하였다. 호주 전체에 캥거루는 매우 풍부한 편으로, 2010년 호주 전역에 11.4백만 개체의 개체수가 추정되었다. 이 종도 개체수가 풍부하여 목초지 등에 피해를 주어 농민과의 갈등이 지속되었다. 지속적인 포획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개체수가 풍부한 편이다.
피해종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피해 생태계 사례
고유 식생 섭식으로 인한 피해발생에 대한 보고가 있었다. 특히, 산불피해 이후 초본 및 관목 섭식으로 인한 피해에 대해 보고되었다.

조절/퇴치

과거 조절/퇴치사업 시행여부 및 시행방법과 결과
자료없음
이 종의 조절/퇴치가 필요한지 여부 및 그 이유
자료없음
조절/퇴치 방법 제안
자료없음

국내·외 침입외래종 지정현황

국내
유입주의 생물
타국가
자료없음
국제기구
자료없음

참고문헌

참고문헌
- 지정이력 2021. 12. 13. 유입주의 생물 지정 고시

관련 소식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