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외래생물 정보시스템

메인으로 바로가기 사이트맵 바로가기

유입주의 생물 검색

Home > 유입주의 생물 > 유입주의 생물 검색 > 유입주의 생물 상세보기

납작머리열대메기 Clarias macrocephalus

    1. 영명 : Broadhead catfish
    2. 분류군 : 어류
    3. 분류체계 : > > > >
    4. 관리현황 : 유입주의 생물

생활사

형태특성

색, 몸길이, 몸무게, 암·수컷비교 등의 특징
수컷은 평균 17cm이고, 암컷은 평균 19.4cm이다. 최대 길이는 120cm, 무게는 최대 45kg까지 성장하는 대형 어종이다. 체색은 검은 바탕에 흰 반점이 분포한다. 수컷은 항문 주위에 긴 생식적 유두가 있고 암컷은 둥근 구멍 만 있다. 몸에는 비늘이 없고 점액질로 덮여있다. 머리는 위아래로 납작하고 몸은 양옆으로 납작하다. 긴 수염이 있고 각각 턱과 머리에 있다. 측선은 완전하고 체측 중앙에 위치한다. 등지느러미가 크다. 가슴지느러미 안쪽 가장자리에 톱니 모양의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 또는 뒷지느러미와 연결되어있지 않다. 외비공은 짧고 둥글며 등 쪽에 있어 근연종과 구별이 된다.
토종경쟁종 목록 및 토종경쟁종과 비교
자료없음
아종(Subspeices)
자료없음

생태특성

서식지환경
광범위한 수질 조건에 잘 적응하며 기수역에서도 서식하며 유속이 느리거나 정체된 수역인 큰 강과 저지대 습지에 서식한다. 습지, 운하(수로), 논, 웅덩이, 강 하류 등이 선호하는 서식지이다. 수심이 얕은 정수역인 연못과 논에서도 양식이 되며 건기 동안 연못과 호수의 물이 고갈되면 오랜 시간 동안 물기가 있는 진흙 속에서 묻혀 생존할 수 있다. 강한 가슴지느러미를 이용하여 물 밖에서 이동이 가능하다.
생식(Reproduction) & 발생 (Development)방법
산란시기는 5-10월이고 작은 개울로 이동하여 산란을 한다. 암컷은 직경이 약 30cm이고 깊이가 5-8cm인 하천 바닥에 둥근 산란 둥지를 만든다. 알은 둥지의 수생식물 뿌리에 붙인다. 수컷은 부화할 때까지 둥지의 알을 보호한다. 수정란은 25-30℃ 수온에서 20시간 이내에 부화를 한다. 체중 0.3-0.8kg인 암컷 1마리의 포란수는 5,000-10,000개이다. 치어는 부화 후 4-5일 후부터 갓 부화한 새우, 물벼룩, 윤충류 등을 먹기 시작한다.
섭식(food habits) & 먹이사슬(food chain)
강한 육식성 어류로 수서곤충, 새우, 작은 물고기 등을 섭식한다. 양식할 경우 먹이로 쌀겨, 남은 음식물, 어분 및 배합 사료 등을 투여한다.
수명(lifespan/longevity)
자료없음
기타(개체군 밀도, 주 활동시간대, 무리(집단) 생활유무 등)
자연에서는 서식처 단편화, 오염 등으로 거의 절멸상태에 놓여 있으며 다만 양식종으로서 개체군이 유지되고 있다. 건기동안 물이 마르면 땅속을 파고 들어가 오랫동안 버틸 수 있으며, 이동이 필요한 경우 지느러미를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다.

도입특성

원산지
태국, 라오스, 인도네시아, 베트남, 말레이시아
도입시기
자료없음
도입용도
자료없음

분포특성

국내분포범위, 최초관찰 시기 및 및 장소
자료없음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미도입
유입경로 및 원인
자료없음
자연생태계에서의 생존가능성 기입 및 그 이유
자료없음
생존가능 시 서식가능지역
서식지는 북위 4-34°의 열대기후 지역인 기후가 따뜻한 남아시아로 태국에서 베트남에 걸쳐 분포하고 큰 강 하류와 정체된 연못에 서식한다. 국내에 도입될 경우 제주도 남부지방에 위치한 강 하류와 정수지, 댐, 호 등에 적응하여 서식할 가능성이 있다.
천적존재 여부 및 천적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자료없음

영향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토착종과의 경쟁, 농작물피해, 동식물 및 인간에 대한 공격성, 질병매개체로서의 역활, 생물다양성, 문화/경제적 영향 등
자료없음
피해종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피해 생태계 사례
태국에서 C. macrocephalus는 C. gariepinus와 교잡이 일어난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교잡종은 두 종 모두와 교배가 가능하여 유전적 유전자이입을 야기시킬 수 있다. 해당 과정이 지속되면 종의 사멸을 초래하게 된다. 교잡종은 본토종보다 성장속도가 빨라 기존 어족자원을 위협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Achlya, Aphanomyces, Pythium와 같은 물곰팡이에게 감염된 사례가 있다. 물곰팡이는 동식물 병원균으로 감연된 식물의 뿌리를 부패시켜 농업에 영향을 미친다.

조절/퇴치

과거 조절/퇴치사업 시행여부 및 시행방법과 결과
자료없음
이 종의 조절/퇴치가 필요한지 여부 및 그 이유
자료없음
조절/퇴치 방법 제안
자료없음

국내·외 침입외래종 지정현황

국내
2021. 12. 13. 유입주의 생물 지정 고시
타국가
자료없음
국제기구
자료없음

관련 소식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