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외래생물 정보시스템

메인으로 바로가기 사이트맵 바로가기

유입주의 생물 검색

Home > 유입주의 생물 > 유입주의 생물 검색 > 유입주의 생물 상세보기

아마존비파 Pterygoplichthys pardalis

    1. 영명 : Amazon sailfin catfish
    2. 분류군 : 어류
    3. 분류체계 : > > > >
    4. 관리현황 : 유입주의 생물

생활사

형태특성

색, 몸길이, 몸무게, 암·수컷비교 등의 특징
몸길이는 보통 30-50cm이고 체중은 0.31kg정도 이다. 지느러미는 몸의 크기에 비해 크며 부채꼴 모양을 하고 있다. 몸은 황색과 갈색으로 구성된 반문들이 모자이크 모양으로 있으며, 배쪽은 암색의 반문들이 분포한다. 등지느러미의 가시가 10개 이상이고 보통 13개 이며 복부에 그물 모양의 무늬가 있고 체색의 변이체가 심하다. 뒷지느러미 가시는 4-5개 이고 측선의 비늘은 29-30개 이다. 입을 아래로 향해 있고 입술이 두껍게 잘 발달되어 있다. 몸 전체에는 표범 무늬와 유사한 검은색 얼룩무늬가 형성되어 있다. 머리에는 기하학적 무늬가 있다.
토종경쟁종 목록 및 토종경쟁종과 비교
자료없음
아종(Subspeices)
자료없음

생태특성

서식지환경
서식환경 조건은 pH 6.0-7.5, 수심 10-20m, 수온은 21-28℃이다. 저서성 어류이며 건기로 수량이 감소하고 수온이 높아 용존산소가 부족하면 물 표면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호흡을 할 수 있다. 정체된 수역인 강, 연못, 늪, 웅덩이 등에 서식하며 높은 수온과 낮은 용존산소에 대한 내성이 강하다.
생식(Reproduction) & 발생 (Development)방법
산란기에 수컷은 길이가 약 120-150cm인 수평으로 된 굴을 만든다. 굴은 산란을 위한 둥지 터널로 이용되며 알은 굴 안에서 부화되고 치어가 형성될 때 까지 수컷이 보호한다. 암컷 1개체 당 포란수는 500-3,000개 이다. 산란 성기는 여름이며 보통 몇 달 지속되고 일부 지역에서는 1년 내내 산란이 지속된다. 길이가 25cm 이상이면 번식이 가능하다.
섭식(food habits) & 먹이사슬(food chain)
저서성 조류와 바닥에 퇴적된 유기물 찌꺼기를 섭식하는 식물성 어류이다. 따라서 청소부 어류가 불리기도 한다. 어류의 알, 저서성 대형 무척추동물인 수서곤충 유충 등을 먹을 수 있다.
수명(lifespan/longevity)
수족관에서 10년 이상 생존할 수 있다.
기타(개체군 밀도, 주 활동시간대, 무리(집단) 생활유무 등)
자료없음

도입특성

원산지
브라질, 페루
도입시기
자료없음
도입용도
자료없음

분포특성

국내분포범위, 최초관찰 시기 및 및 장소
자료없음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미도입
유입경로 및 원인
자료없음
자연생태계에서의 생존가능성 기입 및 그 이유
자료없음
생존가능 시 서식가능지역
자료없음
천적존재 여부 및 천적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자료없음

영향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토착종과의 경쟁, 농작물피해, 동식물 및 인간에 대한 공격성, 질병매개체로서의 역활, 생물다양성, 문화/경제적 영향 등
주로 식물성 잔해물을 먹으나, 환경에 따라 어린 치어나 저서생물 및 곤충까지도 섭식을 하여 침입지역의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번식기에 굴을 파는 특성으로 뚝방 안정성에 영향을 줄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양식을 생업으로 삼는 어민들의 양식도구를 파손시키는 등의 피해를 입히는 등의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피해종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피해 생태계 사례
미국, 멕시코, 필리핀 등에서는 본 종이 강이나 하천으로 유입되었으며 강둑에 구멍을 내서 강둑의 침식과 구조 변경, 수생 먹이사슬 파괴, 토착종과의 경쟁, 멸종위기에 처한 조류의 사망률 증가, 수생식물 군집변화, 어구와 낚시 장비 피해 등이 발생하고 있다. 필리핀에서는 해당 종이 자연생태계로 유입됨에 따라 기존 본토의 스포츠 어종의 개체 수가 감소하였으며, 상업적 어종의 수 또한 감소하였음을 시사한 바 있으며, 특히 필리핀 수산업의 핵심지인 Laguna de Bay로의 침입으로 인해 상업적 어종의 수가 감소하여 해당 지역의 어민들에게 피해가 발생하였다. 또한 어종의 크기와 공격성으로 채집망이나 케이지가 손상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하였다. 해당 종에는 10여종 안팎의 기생충이 발견되어 보고된 바 있으며, 그 중 Clinostomum complanatum의 경우 사람에게 감염될 경우 점막, 기도, 후두에 흡착하여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절/퇴치

과거 조절/퇴치사업 시행여부 및 시행방법과 결과
자료없음
이 종의 조절/퇴치가 필요한지 여부 및 그 이유
자료없음
조절/퇴치 방법 제안
자료없음

국내·외 침입외래종 지정현황

국내
2021. 12. 13. 유입주의 생물 지정 고시
타국가
자료없음
국제기구
자료없음

관련 소식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