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외래생물 정보시스템

메인으로 바로가기 사이트맵 바로가기

유입주의 생물 검색

Home > 유입주의 생물 > 유입주의 생물 검색 > 유입주의 생물 상세보기

월아이농어 Sander vitreus

    1. 영명 : Walleye
    2. 분류군 : 어류
    3. 분류체계 : > > > >
    4. 관리현황 : 유입주의 생물

생활사

형태특성

색, 몸길이, 몸무게, 암·수컷비교 등의 특징
몸길이는 보통 36-54cm이고 최대로 성장하면 길이 107cm, 무게 11.3kg까지 성장한다. 몸은 어뢰 모양이고 체색은 황록색 바탕에 어두운 얼룩으로 얼룩덜룩하며 옆면 반점이 있다. 배 부분은 흰색을 띠며 빗모양의 비늘이 등, 옆면, 배아래, 가슴 등 다양한 부위를 덮고 있다. 두 개의 등지느러미가 있으며 앞쪽 지느러미는 12-16개의 강한 가시가 있고 제2등지느러미는 1개의 가시와 19-22개의 연조로 구성되어 있다. 가슴지느러미는 둥글고 가시가 없으며 배지느러미는 1개의 가시와 5개의 연조를 구성되어 있다. 뒷지느러미는 2개의 가시와 12-14개 연조를 가지고 있다. 입은 크고 수평이며 위턱과 아래턱이 길이는 동일하다. 턱과 입천장에 강한 치아가 있다.
토종경쟁종 목록 및 토종경쟁종과 비교
자료없음
아종(Subspeices)
자료없음

생태특성

서식지환경
유속이 느리거나 정수역인 강, 호수, 웅덩이, 늪지, 연못, 저수지 등에 서식하며 기수역에도 서식한다. 수온이 다소 낮고 탁도가 높으며 수심이 얕은 수역을 선호하며 서식지의 하상은 자갈과 모래로 형성되어 있다. 호수의 경우 암석으로 형성된 연안 수변부 지역에 주로 서식하며 가장 선호하는 서식지는 수표면의 25-45%가 바위나 통나무가 잠겨 있거나 수풀 및 초목으로 덮여있는 곳이다. 서식지 조건은 용존산소는 5mg/l 이상이고 pH는 6.0-9.0, 수온은 20-24℃이다.
생식(Reproduction) & 발생 (Development)방법
봄에 산란을 하고 수컷은 3-4년생, 암컷은 1년이 지나면 성적 성숙을 한다. 산란 장소는 수심이 얕고 하상에 자갈과 암석이 깔린 유입하천 지류와 상류역이다. 하천 바닥에 산란을 하며 간혹 하상에 모래나 수초, 나무가 있는 곳에 산란하기도 한다. 산란행동은 쫓기와 원형으로, 유영으로 이루어지며 암컷 1개체에 수컷 2개체 또는 암컷 2개체에 수컷 6개체처럼 작은 무리를 형성한다. 암컷은 옆으로 굴러 가며 알을 낳고 이와 동시에 수컷은 정자를 방출하여 수정을 한다. 산란 시 수온은 6-10℃ 이고 암컷 1마리의 최대 포란수는 500,000개 이다. 산란 후 부모 개체는 수정란을 돌보지 않는다. 수정란은 하천 바닥 자갈과 암석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약 10-20일 이면 부화를 한다.
섭식(food habits) & 먹이사슬(food chain)
강과 호수에서 최상위 포식자로 사람 이외에는 포식을 당하지 않는다. 주로 밤에 섭식을 하며 어린 개체는 엄폐물 근처에 숨어 있다가 동물성 플랑크톤과 소형 곤충을 먹으며 성체가 되면 물고기기와 곤충을 주로 섭식한다. 이들 먹이가 부족하면 가재, 달팽이, 거머리, 개구리, 도롱뇽, 작은 포유류 등 다양한 동물을 섭식하는 강한 육식성 어류 이다.
수명(lifespan/longevity)
최대 29년까지 생존한다.
기타(개체군 밀도, 주 활동시간대, 무리(집단) 생활유무 등)
자료없음

도입특성

원산지
북미, 캐나다, 대서양, 태평양
도입시기
자료없음
도입용도
자료없음

분포특성

국내분포범위, 최초관찰 시기 및 및 장소
자료없음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미도입
유입경로 및 원인
자료없음
자연생태계에서의 생존가능성 기입 및 그 이유
자료없음
생존가능 시 서식가능지역
북미에서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원산지의 기후대와 서식지 특성을 고려할 때 국내의 하천과 강의 하류, 댐, 호, 저수지 등에 도입되면 적응하여 정착할 가능성이 높다.
천적존재 여부 및 천적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자료없음

영향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토착종과의 경쟁, 농작물피해, 동식물 및 인간에 대한 공격성, 질병매개체로서의 역활, 생물다양성, 문화/경제적 영향 등
국내에서는 중부와 북부지역의 강과 저수지, 댐, 호에 도입되면 정착할 가능성이 있다. 국내에 도입되어 정착하면 먹이사슬에서 최상위 포식자이고 생태적으로 국내 토착어종 중 적합한 경쟁종이 많지 않아 토착어종의 개체수 감소와 종 다양성이 급격히 감소하는 악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
피해종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피해 생태계 사례
미국에서 새로 도입된 아이다호에서는 12년 후 토착종인 Perca flavescens의 개체수가 80%에서 1%로 감소하였고 S. vitreus가 급격히 증가하여 전체 어류의 약 80%를 차지하였다.

조절/퇴치

과거 조절/퇴치사업 시행여부 및 시행방법과 결과
자료없음
이 종의 조절/퇴치가 필요한지 여부 및 그 이유
자료없음
조절/퇴치 방법 제안
자료없음

국내·외 침입외래종 지정현황

국내
2021. 12. 13. 유입주의 생물 지정 고시
타국가
자료없음
국제기구
자료없음

관련 소식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