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외래생물 정보시스템

메인으로 바로가기 사이트맵 바로가기

유입주의 생물 검색

Home > 유입주의 생물 > 유입주의 생물 검색 > 유입주의 생물 상세보기

카스피해붉은띠곤쟁이 Hemimysis anomala

    1. 영명 : Bloody-red mysid
    2. 분류군 : 무척추동물
    3. 분류체계 : > > > >
    4. 관리현황 : 유입주의 생물

생활사

형태특성

색, 몸길이, 몸무게, 암·수컷비교 등의 특징
몸길이는 0.6-1.3cm이며, 암컷은 수컷보다 비교적 더 크다. 체색은 아이보리 노란색 또는 반투명에 가깝지만, 붉은 착색 색소가 있는 갑각과 꼬리쪽 부위의 색 강도는 야행성 행동과 관련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빛과 온도 조건에 따라 색소포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라 달라진다. 그늘진 지역에서는 더 진한 붉은 색을 띠는 경향이 있다. 성장기 개체는 성체보다 더 반투명하다. 색소포의 존재로 독특한 붉은색 또는 붉은 반점을 띄고 있는 특징이 있으며, 등쪽 가장자리에 큰 구형의 노치가 있는 눈을 가지고 있다. 꼬리마디는 길고 직사각형이며 중앙에 갈라진 틈이 없으며, 측면을 따라 한 줄의 짧은 가시가 있고 뒤쪽 모서리에 한 쌍의 긴 가시가 있다. 더듬이 비늘에는 가시가 없고 긴 털 모양의 강모가 있다.
토종경쟁종 목록 및 토종경쟁종과 비교
자료없음
아종(Subspeices)
자료없음

생태특성

서식지환경
평균기온은 10℃이상이고, 저온기온은 0℃ 이상의 기온을 나타내는 온대기후를 선호한다. 수온은 9-20℃를 선호하며, 0℃의 기온에서는 다수의 개체수가 폐사하고 일부 개체만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수, 저수지, 연못, 운하, 강 및 연안해역의 유속이 느린 서식처를 선호한다. 물이 흐르는 유수환경에서는 해당종의 개체수가 적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럽의 강에서 성공적으로 자리 잡았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정체된 수체에서 발견된다. 바위와 조개를 포함한 단단한 바닥 표면을 선호하며 부드러운 바닥과 빽빽한 초목 등을 피한다. 일반적으로 6-10m 깊이에 서식하지만 기본 범위에서 수심 0.5-50m에서 발견된다. 일광노출을 피하는 심해종으로 흑해에서는 수심 20m, 드네이퍼 강(Dneiper River)에서는 50m에서 관찰된다. 일반적으로 수심 6-10m에서 발견되고 0-19 ppt의 염도를 견딜 수 있다.
생식(Reproduction) & 발생 (Development)방법
4월에서 9월 또는 10월까지 번식한다. 성적 성숙은 45일 후에 발생한다. 암컷은 8-9℃에서 난자를 생성하여 매년 2-4번 번식을 한다. 무리의 크기는 암컷의 길이와 관련이 있으며 개체 당 6-70개의 배아 범위이다. 번식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수온, 영양 상태 및 암컷 개체의 길이로 알려져 있다. 암컷 개체의 길이는 염도에 영향을 받으며, 담수에 서식하는 개체군 보다 해수에 서식하는 개체들의 크기가 크다. 암컷의 크기에 따라 14-66개의 알을 산란하며, 서식처 환경에 따라 변동을 나타낸다.
섭식(food habits) & 먹이사슬(food chain)
주로 동물성 플랑크톤, 특히 물벼룩같은 작은 갑각류를 먹지만 동식물의 잔해, 식물성 플랑크톤(특히 녹조류 및 규조류), 곤충 유충을 섭취하는 기회주의 잡식 동물이며 때때로 동종섭식도 한다. 어린 개체(전체 길이 0.4cm)는 주로 식물성 플랑크톤을 먹는다. 몸의 크기가 커질수록 섭식하는 동물성 플랑크톤의 크기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내족으로 먹이를 잡아먹거나 외지에 의해 유입되는 해류에서 걸러진 음식물 입자를 몸에서 제거하여 흉부 사지를 사용하여 먹이를 먹는다.
수명(lifespan/longevity)
수명은 약 9개월이다.
기타(개체군 밀도, 주 활동시간대, 무리(집단) 생활유무 등)
개체들은 낮 동안 깊숙한 퇴적물 근처에 남아 황혼에 떼를 지어 상층부로 이동한 다음 새벽에 깊숙한 지역으로 돌아간다. 수컷만이 이러한 이동을 하는 경향이 있다. 군집 경향이 있어 면적이 최대 수 평방미터에 이르는 밀집된 떼를 만든다. 낮 시간, 특히 늦여름에 이 붉은 떼는 부두, 보트 또는 방파제 그림자에서 관찰 될 수 있다. 밤에는 그 떼가 흩어진다. 이 종은 또한 암석 틈새와 바위 구멍에 숨어 낮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도입특성

원산지
흑해, 아조프해 및 동부 카스피해
도입시기
미도입
도입용도
미도입

분포특성

국내분포범위, 최초관찰 시기 및 및 장소
미도입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미도입
유입경로 및 원인
미도입
자연생태계에서의 생존가능성 기입 및 그 이유
평균기온은 10℃이상이고, 저온기온은 0℃ 이상의 기온을 나타내는 온대기후를 선호한다. 수온은 9-20℃를 선호하며, 0℃의 기온에서는 다수의 개체수가 폐사하고 일부 개체만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 유입될 경우 겨울에 폐사할 가능성은 있으나 전국의 기수지역에서 적응하여 서식할 가능성 또한 있다. 연간 수온이 따뜻한 환경을 나타내는 온배수 지역인근에 유입될 경우에는 사계절 모두 서식이 가능하다.
생존가능 시 서식가능지역
기수지역, 온배수 지역인근
천적존재 여부 및 천적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자료없음

영향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토착종과의 경쟁, 농작물피해, 동식물 및 인간에 대한 공격성, 질병매개체로서의 역활, 생물다양성, 문화/경제적 영향 등
유럽에서 먹이 그물을 파괴하고 먹이가 유입된 환경의 영양분과 오염주기를 변화시켰다. 일부 유럽 저수지의 사례로 판단하면 동물성 플랑크톤 생물량과 다양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물벼룩과 로티퍼 및 오스트라코드가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또한 먹이 사슬에 대한 직접적인 전파와 간접적인 영향을 통해 도입된 경우는 어류의 선충류(Nematoda), 세스토데스 및 아칸토세팔란(acanthocephalan)에 의한 기생을 증가시킬 수 있다.
피해종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피해 생태계 사례
자료없음

조절/퇴치

과거 조절/퇴치사업 시행여부 및 시행방법과 결과
자료없음
이 종의 조절/퇴치가 필요한지 여부 및 그 이유
자료없음
조절/퇴치 방법 제안
자료없음

국내·외 침입외래종 지정현황

국내
2021. 12. 13. 유입주의 생물 지정 고시
타국가
미국
국제기구
자료없음

관련 소식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