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외래생물 정보시스템

메인으로 바로가기 사이트맵 바로가기

유입주의 생물 검색

Home > 유입주의 생물 > 유입주의 생물 검색 > 유입주의 생물 상세보기

그린벨개구리 Litoria aurea

    1. 영명 : Golden tree frog, Green and golden bell frog
    2. 분류군 : 양서류
    3. 분류체계 : > > > >
    4. 관리현황 : 유입주의 생물

생활사

형태특성

색, 몸길이, 몸무게, 암·수컷비교 등의 특징
호주에서 가장 큰 개구리 중 하나로서 길이는 최대 11cm까지 자라고 수컷이 5.7-6.9cm, 암컷이 6.5-10.8cm로 암컷이 더 크다. 등은 밝은 녹색부터 청동색까지 변이가 크고, 금색의 반점이 있는 경우도 있다. 하얀 크림색 또는 어두운 노란색의 줄이 눈 뒤에서부터 뒷다리 사타구니 부위까지 이어지고 같은 색의 줄이 눈 아래에서 어깨까지 이어진다. 배면은 크림색 또는 흰색을 띠고 오돌토돌한 질감을 갖는다. 다리는 녹색, 청동색 또는 중간색을 띠고 허벅지 안쪽과 사타구니는 푸른 녹색을 띤다. 발가락의 흡판은 확장되어있어 기어오르기에 알맞고 손가락에는 물갈퀴가 없으나 발가락은 완전한 물갈퀴를 가지고 있다. 몸집에 비해 앞·뒷발의 물갈퀴가 작다. 뾰족한 주둥이를 갖고 있다. 수컷의 울음주머니는 노란색이다. 번식기에 수컷은 갈색의 혼인 돌기를 발달시키면서 다리는 어두운 주황색으로 변하고, 암컷은 발에 푸른 빛깔을 발달시킨다.
토종경쟁종 목록 및 토종경쟁종과 비교
자료없음
아종(Subspeices)
자료없음

생태특성

서식지환경
수심이 얕고, 그늘이 없으며, 임시적이며, 오염되지 않은 담수 서식지를 선호한다. 보통 물에서 활동하기 때문에 약 10cm이상을 기어오르기 힘들어 물위로 나뭇가지가 늘어진 연못이나 늪지대에 주로 서식한다. 하지만, 저지대 숲, 삼림지대, 습지, 수로 등 다양한 서식지에 계절적으로 적응하며 물살이 빠르지 않은 곳 어디에나 서식 가능하여 9월부터 5월 초까지 찾아볼 수 있다.
생식(Reproduction) & 발생 (Development)방법
수컷들은 9월에서 3월 사이에 물웅덩이에 뜬 상태로 울음소리를 낸다. 원산지의 경우 10월부터 3월까지 번식하고 저지대일수록 더 오랜 기간 번식한다. 암컷은 포접한 상태에서 약 3,000-10,000개의 알을 수초 주위에 낳는다. 알은 잠깐 떠올랐다가 부풀어 오르면서 약 6-12시간 내에 가라앉는다. 알은 3일 이내에 부화하며 변태는 보통 6주 정도가 소요되나, 그 기간은 2-11개월 정도 걸릴 수 있다.
섭식(food habits) & 먹이사슬(food chain)
올챙이는 조류 등 식물성 물질을 선호하지만 서식 밀도가 높을 때에는 동종 포식도 한다. 성체는 다양한 식량원을 가진 육식동물로서 주로 곤충류 등 절지동물, 담수 갑각류 및 민달팽이, 다른 개구리 등을 포식한다.
수명(lifespan/longevity)
자료없음
기타(개체군 밀도, 주 활동시간대, 무리(집단) 생활유무 등)
짧은 혀가 아래턱에 붙어 있어 다른 개구리들처럼 혀로 파리를 잡지 못하고 뒷다리로 잡는다. 피부에서 분비되는 점액질로 인해 미끄러워서 붙잡기 어렵게 하며, 다른 종의 개구리에게는 유독하기 때문에 유용한 방어 도구이다. 때때로 일광욕을 필요로 한다.

도입특성

원산지
호주
도입시기
자료없음
도입용도
자료없음

분포특성

국내분포범위, 최초관찰 시기 및 및 장소
자료없음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자연생태계에 유입여부
미도입
유입경로 및 원인
자료없음
자연생태계에서의 생존가능성 기입 및 그 이유
호주와 뉴질랜드 등 온대 기후 지역에서 서식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도 자연에 적응하여 서식할 가능성이 있다.
생존가능 시 서식가능지역
자료없음
천적존재 여부 및 천적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자료없음

영향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토착종과의 경쟁, 농작물피해, 동식물 및 인간에 대한 공격성, 질병매개체로서의 역활, 생물다양성, 문화/경제적 영향 등
다양한 식량원을 가진 육식동물로서 도입 시 다른 양서류와 파충류에게는 위협이 될 수 있으며, 다른 개구리에 비교해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유입될 시 먹이와 서식영역 등의 경쟁 때문에 소형 토착종의 종 다양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인간에게 질병을 유발시킬 수 있는 기생충과 같이, 질병 전파 등으로 위해를 가할 가능성이 있다.
피해종명(학명, 일반명-국문명, 영문명), 피해 생태계 사례
호주 시드니에 서식하는 개체에서 양서류의 흑사병으로 불리는 항아리곰팡이병을 일으키는 Chytrid fungi가 발견되었다. 호산구성 수막뇌염(Eosinophilic meningitis, EM)을 유발하는 Angiostrongylus cantonensis의 유충이 뉴칼레도니아 표본에서 관찰되었다.

조절/퇴치

과거 조절/퇴치사업 시행여부 및 시행방법과 결과
자료없음
이 종의 조절/퇴치가 필요한지 여부 및 그 이유
자료없음
조절/퇴치 방법 제안
자료없음

국내·외 침입외래종 지정현황

국내
2021. 12. 13. 유입주의 생물 지정 고시
타국가
자료없음
국제기구
자료없음

관련 소식

TOP